반응형

경제 위기 시그널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에 주목하라

728x90

보통은 돈을 빌리는 기간이 길수록 금리가 높은 게 정상이다. 예를 들어 똑같이 1억 원을 빌려줄 때 10년을 빌려주는 것과 1년을 빌려주는 것을 비교해보자. 10년을 빌려줄 경우 온갖 위험이 더 커지기 때문에 금리가 1년보다 높지 않으면 돈을 빌려주는 것을 꺼리게 될 것이다.

국채의 경우에도 10년 만기 장기 국채와 1년 만기 단기 국채가 거래될 경우, 대체로 1년 만기 국채보다 10년 만기 국채의 금리가 높다. 그런데 가끔씩 예외적으로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낮아지는'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질 때가 있다. 대체로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경기 불황을 미리 알려주는 중요한 시그널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왜? 불황을 앞두고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단기 금리는 현재의 경제 여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당장 자동차를 구입하거나 냉장고 같은 내구재를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때 단기 자금 수요가 늘어난다. 이에 비해 장기 금리는 먼 미래의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를 반영한다.

그런데 지금 당장은 경기가 좋지만 현재의 호황이 미래에도 이어지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제 주체가 늘어나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단기 자금 수요가 많아지면서 단기 금리는 장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올라가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저축을 늘려 장기 채권을 사두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면 장기 금리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 때문에 호황의 끝으로 갈수록 장기와 단기 금리가 역전되는 현상마저 일어난다. 이처럼 장기와 단기 금리의 차이가 점점 좁혀지거나 심지어 역전되는 것은 경제 주체들이 현재 경기가 호황의 막바지에 다다랐음을 얼마나 강하게 느끼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실제로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가 역전되거나 그 차이가 축소된 이후 통상적으로 6~18개월 뒤에 경기 침체나 위기가 찾아온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장단기 금리 차 축소나 역전은 경기의 향방을 알리는 강력한 시그널이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2년물이나 6개월물 단기 국채 금리가 10년물 장기 국채 금리보다 높아지면 이를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이라고 한다.

장단기 금리 차 그래프

1989년에는 일본의 주가버블이 붕괴됐고, 1990년에는 북유럽 3개국의 부동산 붕괴가 일어났다. 그리고 그 해 여름에는 미국의 주가지수가 20% 이상 급락했다.

2000년 초에도 장단기 금리가 역전됐다. 곧바로 닷컴버블 붕괴가 일어나 미국 주가지수가 폭락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2000년 2년 반 동안 무려 78%가 폭락해 5분의 1토막이 났다. 사상 최악의 폭락이었다.

2006년 또다시 장단기 금리 차가 역전된 이후 1년 정도 지난 2007년부터 미국의 부동산 가격과 주가가 서서히 하락하기 시작하더니, 2008년에는 대폭락을 하고 급기야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났다.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에 사상 초유의 양적완화와 제로금리까지 동원해야 했다.

이와 같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될 때마다 위기나 불황이 찾아왔기에 이제 2014년 이후 시작된 장단기 금리 차 축소에 주목해야 한다.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과거 세 번의 장단기 금리 차 역전처럼 이번에도 빠른 속도로 차이가 0에 가까워지고 있다. 조만간 장단기 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자마자 곧바로 위기나 불황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시차가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장단기 금리 차이가 줄어드는 시점보다 바닥을 치고 다시 반등하는 시점에 위기나 불황이 찾아올 때도 많다. 그러므로 한없이 가까워졌던 장단기 금리 차이가 다시 멀어지는 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박종원의 <2020 부의 지각변동> 중에 -

 

2019/10/12 - [북리뷰.서평.] - 박종훈의 <2020 부의 지각변동> “강력 추천 경제 서적”

 

박종훈의 <2020 부의 지각변동> “강력 추천 경제 서적”

저자 박종훈은 대한민국 경제 분야에서 명성을 떨치고 있는 능력자다. 경제 전문가들이 인정한 경제 전문가다. 서울대 경제학부 석박사를 마치고 미국 스탠퍼드대 후버 연구소를 거쳐 현재는 KBS 보도본부 경제부..

aboutthefree.tistory.com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